Monday, April 28, 2025
Home Blog Page 5

리얼아이디 마감으로 여행 차질 우려

washington post

오는 5월7일 리얼아이디(Real ID) 마감을 앞두고 공항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TSA가 여행객들의 수속 지연을 경고했다.

만약 리얼아이디를 발급받지 않고 주정부 발행 신분증을 제시하고 여권 같은 다른 대체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을 경우 추가 스크리닝을 위해 시간이 더 걸리게 되며 결국엔 검색대를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리얼아이디 발급을 위한 뉴저지주 운전면허국(DMV)에 예약 건수는 하루에 3-4천 건 이상에 다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더 이상의 예약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이며 주당 49.5시간을 근무하며 리얼아이디 발급 처리에 최선을 다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점봉 기자>

미 연방법원, 구글 광고 네트워크 불법 독점 판결

abc news

미국 연방법원이 구글의 디지털 광고 기술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한 불법 독점 행위라고 판결했다. 이번 판결은 지난해 구글 검색 엔진의 독점 혐의 판결에 이은 두 번째 조치다.

버지니아주 리오니 브린케마 판사는 구글이 자사 광고 서버와 광고 거래소를 묶어 수익을 극대화하고 경쟁을 억제했다고 밝혔다.

이는 수많은 웹사이트가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현실에서, 퍼블리셔들이 구글의 가격 책정과 시스템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어냈다는 판단이다.

구글은 2008년 광고 전문 기업 더블클릭(DoubleClick)을 인수한 이후, 17년간 광고 기술 생태계를 구축해왔다. 이 과정에서 반경쟁적 계약과 기술 통합을 통해 시장 독점적 지위를 유지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소송을 제기한 미 법무부는 구글이 광고 시장의 모든 핵심 기술을 장악하고 있다며 최소한 Ad Manager 제품을 매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구글은 광고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며, 자사 도구는 효과적이고 사용하기 쉬워 선택받는 것이라고 반박하며 항소할 방침을 밝혔다.

마크 큐반, 트럼프 행정명령에 이례적지지

newsweek

억만장자 사업가이자 ‘샤크탱크’의 스타(STAR)인 마크 큐반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처방약 가격 인하 행정명령에 대해 지지를 나타냈다.

그는 X(옛 트위터)를 통해 “해당 조치는 수천억 달러 절감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큐반은 2022년 저렴한 가격의 의약품을 판매하기 위해 제약사 ‘코스트 플러스 드럭스’를 설립한 바 있다.

그는 약값 인하를 위해 PBM과 포뮬러리 분리, 리베이트 폐지, 전문약 등급 제거, 약국 선택 제한 해제 등 6가지 개혁안을 제시했다.

또한 모든 약국에 브랜드 약값 전액 보상과 유통업체의 과도한 일반약 가격 인상 방지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메디케어 약값 협상 강화, 생명 유지 약품 가격 인하, 중간 유통업체 역할 재검토 등 다양한 개혁 조치를 담고 있다. 큐반은 “도울 준비가 돼 있다”며 적극적인 개입 의지도 내비쳤다.

플로리다 주립대 총격 사건… 2명 사망, 6명 부상

fox orlando

플로리다 주립대(Florida State University, FSU)에서 4월 17일 정오 무렵 총격 사건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했다.

경찰은 용의자를 FSU 재학생 피닉스 아이크너(20)로 밝혔으며, 그는 리언 카운티 보안관의 아들인 것으로 확인됐다.

총격은 학생회관 근처에서 발생했으며, 경찰은 곧바로 캠퍼스를 봉쇄하고 학생들에게 대피하라고 지시했다.

부상자 6명은 탈라해시 메모리얼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그중 한 명은 위독한 상태다.

대학 측은 사건 직후 모든 수업과 행사를 금요일까지 취소했고, 학생 재회(Student reunification)는 도널드 L. 터커 시빅 센터에서 진행 중이다.

학생회관은 여전히 범죄 현장으로 지정돼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총격 발생 후 FSU는 “학생들은 실내 대피를 유지하고, 경찰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플로리다 주지사와 대학 총장, 보안관 모두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하며 철저한 수사를 약속했다.

샴버그 주택 내부서 여성 총상…길 건너편에서 발사된 총탄이 원인

abc chicago

북부 교외지역의 한 주택에서 총탄이 날아들어 여성이 총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샴버그 경찰에 따르면, 사건은 16일 오후 4시 15분경 샴버그 리비어 서클 1500블록에서 발생했다. 경찰은 길 건너편 다른 주택에서 발사된 총탄이 인근 주택 창문을 뚫고 들어가 내부에 있던 여성을 맞췄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 여성이 표적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사건이 지역 사회에 추가적인 위협이 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용의자나 정확한 사건 경위 등에 대한 추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경찰은 계속해서 수사를 진행 중이다.

트럼프, 처방약 가격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저소득층에 최대 97% 할인

fox news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처방약 가격을 낮추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명령은 메디케어 처방약 비용을 낮추고,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약품에 대해 저소득층 환자들에게 ‘대규모 할인’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행정명령에 따르면,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암 치료제 등 메디케어 처방약의 지불 방식을 표준화하고, 병원이 약을 구매하는 가격과 연계해 정부의 약품 구매 비용을 최대 35% 낮추도록 했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약값이 최대 60%까지 인하될 수 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또한 인슐린 가격은 보험이 없거나 저소득층 환자에게 3센트까지, 알레르기 치료용 에피네프린 주사는 15달러까지 낮추고, 소정의 행정수수료만 부과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명령은 주 정부들이 수백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도록 약품 수입 프로그램을 촉진하고, 메디케이드에서 겸상 적혈구 질환 치료제 구매를 지원하는 제도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시행한 ‘메디케어 약값 협상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의견 수렴을 지시하며, “우리는 첫해에 바이든 행정부가 달성한 절감액을 능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가 예고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는 의료비 상승 우려를 낳고 있다. 한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전문가의 84%가 관세로 인해 치료비와 약값이 오를 것이라 전망했다.

트럼프는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이제 우리는 약을 직접 만들지 않는다. 제약회사는 아일랜드와 중국 등 해외에 있다”고 지적하며 제약 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문제 삼았다.

루이지애나 월마트에 말 타고 들어간 남성 3명과 10대, 경범죄로 기소

people

루이지애나의 한 월마트 매장 안으로 말을 타고 들어간 남성 3명과 10대 1명이 경범죄 혐의로 기소됐다. 이들은 지난주 베이커 지역 월마트 슈퍼센터에서 말을 타고 매장 내부, 특히 셀프 계산대 근처를 지나가는 장면이 영상에 포착됐다.

경찰에 따르면 기소된 인물은 24세 브렌든 브릿지워터, 22세 패트릭 데로잔, 18세 메이슨 웹이며, 이들은 모두 출입금지 장소 무단침입, 범죄행위 유발, 평온 방해 등의 혐의로 자진 출두했다. 동행한 16세 청소년도 같은 혐의로 자수했다.

웹은 현지 방송 WBRZ와의 짧은 인터뷰에서 자신이 탄 말이 정서적으로 불안한 사람들을 돕는 동물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무료 세금 신고 프로그램 ‘IRS 다이렉트 파일’ 폐지 추진

fox news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국세청(IRS)의 무료 세금 신고 프로그램인 ‘다이렉트 파일(Direct File)’을 폐지할 예정이라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납세자들이 별도의 유료 소프트웨어 없이 IRS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세금 신고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사용자들로부터 빠르고 경제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 프로그램은 바이든 정부 시절인 2024년 시범 도입됐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배정된 예산으로 개발됐다. 지난해 5월 IRS는 다이렉트 파일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민간 세무 대행 업체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왔다. 이들 업체는 자사 소프트웨어 사용료로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수백만 달러를 들여 의회를 상대로 로비를 벌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효율성부 장관인 일론 머스크와 함께 다이렉트 파일 개발을 중단시켰으며, 지난 3월에는 IRS 내부에서도 2026년 세금 신고 시즌을 위한 해당 시스템 개발을 중단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고 전해졌다.

세무 업계는 기존에도 무료 신고 수단이 존재한다며 프로그램 폐지를 환영한 반면, 사용자들과 시민단체는 “정부가 기본 서비스를 제공할 책임을 저버렸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다이렉트 파일을 통해 접수된 세금 신고는 12개 주에서 총 14만800여 건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