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기 제조업계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등 미래 항공 신시장 개척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LIG넥스원 대전하우스에서 항공제조업계 간담회를 열고 제3차 항공산업발전기본계획(2021∼2030)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코로나19로 인한 산업위기를 극복하고, 기반 유지를 위해 중소 항공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내 항공우주 산업체는 2019년 말 기준 200곳이며, 이 중 76% 이상이 자본금 50억 원 미만의 영세업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주요 3사가 항공산업 전체 매출의 83%를 차지한다.
이들 업계는 민수 물량의 92%를 보잉·에어버스에 납품하는데, 코로나19로 부품생산과 민항기 정비 부분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민수 매출액은 50% 감소했다. 올해 말까지 항공기업 유휴인력 1171명 중 절반가량의 구조조정도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활용해 기존 대출한도 외에 추가 지원하고, 업황 회복 때까지 향후 2~3년간 지원 프로그램을 유지할 계획이다.
기존항공 시장의 경쟁력 강화도 추진한다. FA-50, 수리온 등 완제기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무장 및 항전 장비, 동력전달장치 등 핵심 부품 국산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미래항공 신산업 육성을 위해선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관련 친환경·고효율 핵심부품 개발에 착수한다. UAM 시장은 2020년대 중반부터 성장해 2040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1조 5천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기본계획 전략 추진을 위해 올해 항공산업 관련 예산으로 항공부품제조기업 지원(828억원) 등 총 22개 사업에 1153억원을 편성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항공시장에서는 UAM, 친환경 비행체를 비롯해 AI, 각종 항공전자 소프트웨어 등 새로운 기회의 시장이 열리고 있다”며 항공업계의 적극적인 투자와 협조를 당부하고, 정부 지원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