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화해의 상징이, 폭파라는 상징적인 방법으로 무너졌다.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지난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의 성과를 압축한 상징이었는데, 북한이 2008년 영변 원자로 냉각탑, 10년 후 풍계리 실험장 등 국제 사회에 비핵화 노력을 각인시킬 때 썼던 것과 같은 방법인 ‘폭파’를 통해 파괴했다.
북한이 내부 핵시설 폭파로 과감한 결단과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면, 남북 정상 간 합의로 만들어낸 상징물을 폭파하면서는 내면의 깊숙한 분노를 과격하게 표출했다.
북한은 이어 비무장지대 GP(감시초소)를 복원하고, 서해북방한계선(NLL) 일대 등에서 군사훈련을 제재하겠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북한은 도발을 예고하고 바로 실행하면서 군사적 행동 등 갈수록 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다.
남북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지난 2년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 북한은 왜 갑자기 입에 담기 어려운 험담을 쏟아내는 ‘몰상식’하고 ‘예의 없는’ 모습으로 돌아섰을까.
◇김정은 전례 없는 파격행보…기대만큼 컸던 실망감
평양정상회담 사흘째인 2018년 9월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아 들어올리고 있다. (사진=평양사진공동취재단)지난 2018년 남북 정상은 4.27 남북정상회담을 시작으로 4번(남북미 정상 판문점회동 포함)이나, 북미 정상은 3번을 만났다.
어느 때보다 한반도 평화분위기는 무르익었고, 남북은 적대적 행위 전면 중지를 선언하고, 강원도철원 지역의 GP를 철거하는 등 군사적 긴장감을 낮추려는 애를 써왔다.
2년 전 핵실험을 진행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5형을 발사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집중했던 것과 전혀 다른 모습이 연출된 것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3차 정상회담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 능라도 5.1 경기장에서 시민 15만명을 향해 연설을 하도록 자리를 마련해주는 파격행보를 보였다.
이를 놓고 “북한이 안방을 개방했다”, “남북 관계는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를 만났다”며 한껏 고무된 평가가 나왔다.
그도 그럴 것이 북한이 그동안 고수해온 ‘경제-핵 병진’에서 ‘경제-비핵화’로 획기적으로 노선 전환을 한 행보였기 때문이다. 북한 ‘최고존엄’의 결정이기 때문에 북한이 행적을 쉽게 되돌릴수 없을 것이라는 해석에 힘이 실렸다.
북한은 여기에 더해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영변 핵 시설의 영구적 폐기 의사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북한 핵개발의 심장’으로 불리는 영변 핵시설이 북핵 전체에서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앞서 같은 해 5월 24일 북한이 풍계리 실험장을 시범폭파한 것도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국제사회에 보여주려는 노력이었다.
아울러 북한은 미국인 전쟁 포로 유골을 송환하겠다는 약속을 지켜 실제 유해 50여구를 미국에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