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코로나19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국도 대책회의를 여는 등 정세를 주시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12일 리커창 총리 주재로 상무회의를 열어 “국내외 정세와 시장변화를 추적 분석하고 시장조율에 만전을 기해 빠른 가격 상승과 이에 따른 파급효과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또 통화정책과 기타 정책의 배합을 강화해 경제의 안정적인 운행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는 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과 문화·관광산업 등에 대한 금융서비스를 강화하며 5개 국영상업은행의 소액대출이 30% 이상 증가하도록 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여전히 본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지원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도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다.
중국의 이런 움직임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이 코로나19로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대대적으로 돈을 푼 상황에서 최근 세계적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미국 등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조짐이 이는 가운데 나왔다.
4월 미국의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4.2%로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 여파로 12일(현지시간) 나스닥 지수가 2.67% 하락하는 등 미국 증시 주요 지수가 급락했다. 13일 코스피가 미국발 인플레이션 공포에 1% 이상 하락 마감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중국 상황도 녹록치 않다. 지난 11일 발표된 중국의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작년 같은 달보다 6.8% 올라 상승 폭이 2017년 10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승은 상품 수출을 통해 다른 나라의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중국은 경기 부양을 위해 700조원에 가까운 돈을 쏟아 부어 세계 주요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이뤄냈지만 부채증가와 자산거품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올해 재정 적자율 목표를 지난해 3.6% 이상보다 낮은 3.2% 가량으로 낮췄고 지난해 발행했던 1조 위안 규모의 특별국채도 발행하지 않는 등 유동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