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사태로 ‘아동’이 있는 가구가 23%대까지 곤두박질쳤다.
통계청의 ‘아동가구 통계등록부’에 따르면 2019년 만 18세 미만 아동이 있는 가구는 487만 3천가구로, 전체 가구 288만 1천가구의 23.3%에 그쳤다.
아동가구 비율은 2015년 27.9%에서 2016년 26.9%, 2017년 25.8%, 2018년 24.6%, 2019년 23.3%로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아동인구의 비율도 계속 줄어서, 2015년 17.2%, 2016년 16.8%, 2017년 16.2%, 2018년 15.6%에서 2019년에는 전체 인구 5177만 9천명 중 15.1%(782만 3천명)로 떨어졌다.
아동이 있는 가구라도 아동이 1명인 경우가 50.8%로, 2015년 49.4%보다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2명인 가구는 43.1%에서 41.7%로 줄었다. 이 외에 아동이 3명인 가구(6.9%)는 2015년과 비중이 같았고, 4명 이상(0.6%)인 경우는 2015년 0.7%에서 조금 줄었다.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인이거나 귀화자인 다문화 부모의 아동 수는 23만 7천명으로 전체 아동의 3.0%를 차지했다.
특히 다문화 부모 아동 비율은 2015년 2.1%, 2016년 2.5%, 2017년 2.6%, 2018년 2.8%에 이어 또 늘어나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모가 함께 양육하는 아동은 687만 5천명(87.9%), 부모 중 한 명만 같이 사는 아동은 61만 2천명(7.8%), 부모와 살지 않고 친척과 함께 살거나 시설 등에 사는 아동은 33만 7천명(4.3%)이었다.
2015년과 비교하면 양부모 양육 아동은 88.2%에서 87.9%로, 한부모 양육 아동도 8.2%에서 7.8%로 감소한 반면 부모 미양육 아동은 3.7%에서 4.3%로 늘었다.
2019년 한부모 아동의 경우 아버지가 양육하는 아동이 34.8%, 어머니가 양육하는 아동이 65.2%였다. 2015년과 비교하면 아버지 양육 아동은 2.4%p 줄었고, 어머니 양육 아동은 2.4%p 늘었다.
양부모 아동 가구 중 부모가 맞벌이인 가구는 59.3%, 홑벌이인 가구는 37.7%였다.
만 8세 이하 자녀를 양육 중인 상용직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비율은 8.4%였는데, 어머니 육아휴직은 18.5%에 달했지만 아버지 육아휴직은 2.2%에 그쳤다.
다만 2015년과 비교하면 어머니의 육아휴직률은 19.4%에서 다소 줄어든 결과지만, 아버지 육아휴직은 0.5%에서 크게 늘어난 결과다.
한편 2019년 육아휴직을 한 어머니의 재직 회사는 공무원 등 비영리기업이 24.8%로 가장 많고 대기업 24.1%, 중소기업 12.4%, 소상공인 6.2%였다.
한편 통계청은 아동이 거주하는 가구 특징을 비롯해 아동의 성장 환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아동 관련 19종의 행정자료를 연계해 작성한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를 이달부터 통계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한다.